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전통문화

    베트남의 왕조 정부는 마을을 하나의 국가 모델로 삼아 마을을 통치의 단위로 활용했다. 국가는 마을을 직접 상대하였으며 개인과 가족들의 행위는 마을에 의해 유도, 조정 및 통제되었다. 개별가족이 그 구성원 전체의 행위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되며, 가족과 마을은 모두 폐쇄적 공동체로서 그 내부에서는 개인의 관심이 집단의 관심 속에 묻혀버려 개인의 사생활은 공적인 의견에 의하여 철저하게 통제되었다.

     

    전통체계가 기능할 수 있게 된 것은 집단지향적 가치관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위신을 얻기 위한 경쟁과 체면에 대한 관심과 비판에 대한 민감함에 관련되어 있는 공동체적 가치지향의 우주관은 전통 베트남 사람들의 생활에 강력한 도덕적 기반을 제공해 주었다. 따라서 개인의 탐욕적 행위와 이기주의의 행동에도 불구하고 사회는 자체수정과 자체통합체계를 가질 수 있어 안정된 상태에 놓여 왔다고 볼 수 있다.

     

    프랑스에 의하여 유입된 자본주의 제도는 전통사회의 제도와 갈등을 빚게 되었고 두 체계 모두 본래대로 기능을 할 수 없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두 문화 체계는 상호 작용을 통하여 베트남 사회를 하나의 근대적 사회로 변화시켜 갔다.

     

    모든 지역에서 계층에 관계없이 베트남 사람들은 서구의 교육제도를 수용하게 되었고, 서구의 상품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식민지 정부의 관리가 되거나 상업활동에 관계된 직업을 가지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인들은 여전히 가족 중심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했으며, 모든 사회적 관계에서도 지위 경쟁의 성향을 계속 유지시켜 나갔다.

     

    그들은 근대 세계에서 사회적 지위 향상은 서구식 교육에 의한 것이라고 믿게 되었다. 따라서 프랑스어, 철학, 지리 및 수학을 공부함으로써 유교적 가치에 근거를 둔 위신에 따른 전통사회의 성공 기준을 대체시켜 나갔다. 그들은 물건이든 문화적 산물인 문학작품 또는 철학이든 프랑스에서부터 온 것이면 모두 베트남 토착의 것들에 비해 우월한 것으로 취급하였다.

     

    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이 개인주의를 옹호하는 서구주의자들에 못지않게 주장해 온 서구적 모델 중의 하나는 과학과 기술이었다. 과학과 기술은 베트남이 발전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요소들로 간주되었으나, 모든 민중 신앙들은 미신으로 취급되면서 베트남의 발전에 큰 장애 요소로서 부각되었다.. 공산당의 목표는 경제체계나 사회체계의 부분들을 변화시키는 데에만 목적을 가지지 않고 사회 전체를 변화시켜 새로운 인민을 창조해 낸다는 데 있었다.

     

    베트남 경제

    베트남은 개발도상국으로서 대체로 농업에 바탕을 둔 중앙계획 경제체제를 실시하고 있다. 1975년 베트남 전쟁 종결 이후 베트남은 비효율적이고 더러는 부패한 관료들에 의해 추진된 경직된 농업 정책으로 인해 경제재건에 어려움을 겪었다.

     

    베트남 총노동력의 약 75%가 농업 부문에 종사하며, 국내총생산의 4분의 1 이상을 농업 부문이 차지한다. 1980년대 후반 잉여 곡물을 자유시장에 내다 팔도록 허용한 정부 정책에 크게 힘입어 베트남은 식량부족 상태에서 벗어나 다시 식량 수출국이 되었다. 경작지의 대부분이 벼농사에 이용되며 많은 지역에서 2모작이 이루어진다. 쌀 이외에 카사바·고구마·땅콩·수수·옥수수 등이 주요 농작물이다. 국영농장에서는 사탕수수··코코넛뿐만 아니라 약간의 수출용 고무·커피·차 등을 생산한다. 돼지와 소 사육도 많이 하고 있다.

     

    대부분의 산업시설이 북부에 집중되어 있으며 원료와 숙련노동자의 부족 현상이 공업 부문에 계속되고 있다. 정부는 생산증대를 위해 성과급제를 장려하고 비능률적인 국영기업체에 대한 보조금을 줄였으며 제한적으로 시장원리를 도입했다.

     

    1976년 이후 재건을 위한 투자가 시멘트, 철강, 섬유, 전력 생산시설 등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졌으나 베트남의 주요 산업활동은 여전히 식품가공 분야이며, 기간시설의 미비로 상품의 수송·유통 부문이 문제점으로 남아 있다. 석탄을 사용하는 화력발전소에서 주로 전력을 공급하나 발전량은 전국의 수요를 충당하기에 부족한 편이다.

     

    베트남의 종교

    베트남의 종교는 수많은 토착 정령들에 대한 숭배의 신앙 위에 유교, 도교 및 불교의 세 종교가 혼합되어 이루어졌다. 베트남 사람들은 거의 모두 이 혼합형태의 종교를 믿는다. 그러나 계층에 따라 강조하는 부분은 다르다. 학자와 관리 계층은 유교에 더 큰 비중을 두며 일반 민중들은 불교, 도교 및 정령숭배의 신앙에 보다 큰 중요성을 부여한다.

     

    베트남의 불교는 동남아의 다른 국가들이 갖는 상좌불교의 구원교리인 개별구원과는 다른 집단적 구원의 경지를 허용하는 대승불교의 계통이다. 경전에 관한 지식의 습득보다는 개인이 스스로 마음과 육체를 단련시키며 덕을 행하고, 점차적이 아닌 갑작스러운 깨달음을 통하여 구원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 때문에 베트남의 불교는 신비주의적 요소를 지닌 도교의 요소들과 쉽게 혼합될 수 있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