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정의

    지능형 돌봄 로봇이란 스스로 일상을 유지하는 활동이 어려운 고령자나 장애인 등에게 신체적, 정신적 도움을 제공하는 로봇 또는 로봇 기술이 적용된 기기를 말합니다. 이러한 돌봄 로봇은 노인이나 환자의 이송지원과 배설 보조 등 신체 활동이 어려운 사람들의 물리적 활동을 보조하는 역할을 감당합니다. 또한, 신체 보조 지원 기능 외에도 인간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돌봄 로봇이 개발되고 있으며 장애인과 노인에게 정신적인 도움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돌봄 로봇은 인체 공학적 이동 보조 로봇 플랫폼, 돌봄 로봇 상호작용, 돌봄 로봇 통합관제 시스템, 돌봄 로봇 안전/성능 평가기술이 핵심기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인체공학적 이동 보조 플랫폼) 혼자서 이동이나 이승이 불가능한 돌봄 대상자의 이동을 보조할 목적으로, 장애물 감지 및 장애물 극복, 낙상 예방 등에 대비하여 안전한 이동을 보조할 수 있는 이동 보조 로봇 플랫폼 기술 적용
    • (감정과 신체기능을 고려한 상호작용) 돌봄 로봇을 활용한 돌봄 서비스에 있어서 돌봄 로봇 사용자의 감정이나 신체기능을 고려한 돌봄 로봇 상호작용
    • (서비스 통합관제 시스템) 돌봄서비스돌봄 서비스 목적으로 다양한 돌봄 로봇을 활용할 때 최소의 인원으로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돌봄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돌봄 로봇 서비스 통합관제 시스템 기술 적용
    • (돌봄 로봇의 안전 성능 평가) 가정이나 시설 또는 병원 등에서 돌봄서비스 목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돌봄 로봇의 안전 및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기술 적용

    필요성

    국내 고령 가구 비중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1인 가구 비중이 늘어남에 따라 독거노인을 위한 복지체제 마련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 국내 고령자 가구 비중이 2022년에는 24.1%로 빠르게 증가하였ㅅ으며, 2050년에는 49.8%로 더욱 가파르게 커질 전망임
    • 1인 가구의 비중은 ’0031.4%에서 ’22년 36.1%로 증가했으며 2050년에는 고령 가구의 41.1%가 독거노인 가구로 구성될 전망
    • 독거노인 가구 비중이 늘어남에 따라 AI 돌봄 로봇, 스피커 등 독거노인을 위한 복지체제 마련의 중요성 증대

    COVID-19 이후 사회 전반적으로 관계가 멀어진 경우가 많으며 65세 이상의 인구에서 이와 같은 추세가 뚜렷하여 사회적 관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 필요합니다.

    • 65세 이상 인구 중 가족 외 친인척, 이웃, 친구와의 관계가 멀어진 경우는 각각 47.7%, 48.0%, 44.8%로 높은 비중을 나타냄
    • 사회적 관계망에 있어 대체로 관계가 멀어지는 추세가 뚜렷함에 따라 기술을 사용해 대인관계 구축 및 인간의 심리적·정서적 교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

    돌봄 로봇 분야는 기계기술, IT, BT, 인간공학, 의료 산업 등의 유기적인 연계가 필요하며 산업 간 광범위한 융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분야입니다.

    • 로봇 플랫폼과 서비스 기술, 케어 로봇용 체감형 콘텐츠 저작, 친환경 로봇 관련 기술에 대한 특허 점유가 용이한 분야로 산업재산권 확보에 주력할 필요성이 다분한 산업임
    • 로봇과 관련 부품, 유통, 로봇 SW 및 서비스 콘텐츠 등을 포함하는 산업이며, 기술 융합을 통해 타 분야로 파생되는 산업임

    환자의 이상 신호 감지, 환자 이동, 환자 상태 점검 등 돌봄 로봇 활용사례가 확인되고 있어 로봇의 병원 현장적용 활성화 방안의 모색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 로봇의 이동능력과 센서 기능을 활용하여 환자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고 환자 상태 점검 등 돌봄 로봇이 간호 현장 개선을 위한 대안으로 평가됨

    구성

    돌봄 로봇은 로봇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축을 위한 후방 산업과 인간 돌봄이 필요한 산업을 전방 산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후방산업으로는 센서 및 카메라 모듈, 모터, 엑츄에이터 및 모션제어기, HW플랫폼, 클라우드 컴퓨팅, IoT, 콘텐츠 서비스 등이 포함됨
    • 전방산업으로는 병원 요양지원 시설, 치매예방센터, 노약자 지원 시설, 원격의료 서비스 산업, 재택 간병 서비스 산업 등이 포함됨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로봇 도입 확산 분위기는 돌봄 로봇에 대한 거부감을 완화하고 이를 활용한 시장 활성화의 기반이 됩니다.

    • 홈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인구 고령화와 비용 효율적인 헬스케어 솔루션의 필요성으로 인해 증가하고 있음
    • 의료 부문은 규제의 벽이 높은 부문이지만 최근 대규모 재활센터를 중심으로 로봇공학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음
    반응형